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분사구문(Participal Construction)

반응형

분사구문

분사구문이란 때, 이유, 조건, 양보 또는 동시 상황 등을 나타내는 종속절(부사절)의 동사와 결과와 연속 상황을 나타내는 등위절의 동사를 현재분사를 이용하여 분사구로 간단히 줄여서 나타내는 구문을 말하는데 종속절의 분사구문은 주절을 부사적으로 수식하며, 등위절의 분사구문은 앞 절을 보충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 종속절 또는 등위절을 분사구문으로 만드는 법

접속사를 생략한다. (분사구문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접속사를 남겨둔다.)

2. 종속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같거나 등위절의 주어와 앞 절의 주어와 같으면 종속절 또는 등위절의 주어를 생략한다.

3. 주절 동사의 시제와 태 또는 앞 절 동사의 태에 맞추어 다음과 같이 변화시킨다.

a. 주절의 시제와 같을 때 동사 원형ing(단순 분사)

b. 주절의 시제보다 앞설 때 having + 과거분사(완료 분사)

c. 종속절 또는 등위절이 수동태일 때 (being) + 과거분사/ (having been) + 과거분사

d. 주절 또는 앞 절은 그대로 둔다.

 

* 분사구문의 예

 

When she saw him, she waved her hand. ()

Seeing him, she waved her hand.

(그를 보았을 때, 그녀는 손을 흔들었다.)

먼저 종속접속사 when을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she가 주절의 주어 s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s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saw가 주절의 동사 waved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sawsee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 Because she is kind, she is loved by her friends. (이유)

Being kind, she is loved by her friends.

Kind, she is loved by her friends.

(친절하므로 그녀는 친구들에게 사랑받는다.)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she가 주절의 주어 s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s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is가 주절의 동사 is loved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isbe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그리고 현재분사, 과거분사, 형용사, 명사와 부사 앞에 오는 being(단순 분사) 또는 having been(완료 분사)은 생략할 수 있다.

 

3. If you turn to the left, you will see the house. (조건)

Turning to the left, you will see the house.

(왼쪽으로 돌면 그 집이 보일 것이다.)

먼저 종속접속사 if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you가 주절의 주어 you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you를 생략한다. If와 같은 조건when과 같은 를 나타내는 종속절은 미래시제 ‘will+동사원형대신에 현재시제가 미래를 표현하므로, 종속절의 동사 turn이 주절의 동사 will see보다 시제가 앞서지만, 사실상 미래시제 will turn과 같은 의미이므로 종속절과 주절의 시제가 일치하기에 having turned (having +과거분사: 완료 분사) 대신에 turning (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4. Though I live next door, I seldom see him. (양보)

Living next door, I seldom see him.

(이웃에 살고 있지만, 나는 그를 좀처럼 보지 못한다.)

먼저 종속접속사 Though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I가 주절의 주어 I과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I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live가 주절의 동사 see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liveliv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5. As she sang a song, she walked along the road. (동시 상황)

Singing a song, she walked along the road.

(그녀는 노래를 부르면서 길을 걸어갔다.)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she가 주절의 주어 s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s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sang이 주절의 동사 walked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sangsing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6. I started at ten, and (I) arrived there at night. (연속 상황)

I started at ten, arriving there at night.

(나는 10시에 출발해서 거기에 밤에 도착했다.)

먼저 등위접속사 and를 생략하고 등위절의 주어 I가 앞 절의 주어 I와 일치하므로 등위절의 주어 I를 생략한다. 그리고 등위절의 동사 arrived가 앞 절의 동사 started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등위절의 동사 arrivearriv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7. As he was surprised at the news, he couldn’t say nothing. (수동태·이유)

Being surprised at the news, he couldn’t say nothing.

Surprised at the news, he couldn’t say nothing.

(그 소식에 놀랐기 때문에 그는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he가 앞 절의 주어 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was surprised가 주절의 동사 couldn‘t say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동사 was surprisedbeing surprised(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번에서 언급했듯이 과거분사 surprised 앞에 위치한 Being은 생략할 수 있다.

 

8. Since I was disappointed, I couldn’t even speak. (수동태·이유)

Being disappointed, I couldn’t even speak.

Disappointed, I couldn’t even speak.

(나는 실망해서 말조차 할 수가 없었다.)

먼저 종속접속사 Since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I가 앞 절의 주어 I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I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was disappointed가 주절의 동사 couldn’t speak과 시제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동사 was disappointedbeing disappointed(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번에서 언급했듯이 과거분사 disappointed 앞에 위치한 Being은 생략할 수 있다.

 

9. Though he was blamed for something he hadn’t done, he didn’t cry.

(수동태·양보)

Being blamed for something he hadn’t done, he didn’t cry.

Blamed for something he hadn’t done, he didn’t cry.

(하지 않았던 어떤 일 때문에 비난을 받았다 할지라도 그는 울지 않았다.)

먼저 종속접속사 Though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he가 앞 절의 주어 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was blamed가 주절의 동사 didn’t cry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동사 was blamedBeing blamed(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번에서 언급했듯이 과거분사 blamed 앞에 위치한 Being은 생략할 수 있다.

 

10. After he had finished the work, he went to bed. (과거완료·)

Having finished the work, he went to bed.

(그는 그 일을 다 끝마치고 잠자리에 들었다.)

먼저 종속접속사 After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he가 주절의 주어 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과거완료 동사 had finished는 주절의 과거동사 went보다 앞선 시제이므로 동사 had finishedHaving finished(having+과거분사: 완료 분사)로 만든다.

 

11. As I have done my task, I can play now. (현재완료·이유)

Having done my task, I can play now.

(나의 일을 끝냈으므로 이젠 놀아도 된다.)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I가 주절의 주어 I과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I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현재완료 동사 have done은 주절의 현재 동사 can play보다 이전에 발생한 앞선 시제이므로 동사 have doneHaving done(having+과거분사: 완료 분사)으로 만든다.

 

12. Though we had finished lunch, we still felt hungry. (과거완료·양보)

Having finished lunch, we still felt hungry.

(점심을 먹었지만, 우리는 여전히 배고픔을 느꼈다.)

먼저 종속접속사 Though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we가 주절의 주어 w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w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과거완료 동사 had finished는 주절의 과거 동사 felt보다 앞선 시제이므로 동사 had finishedHaving finished(having+과거분사: 완료 분사)로 만든다.

 

13. Since I have read the book, I can criticize it. (현재완료·이유)

Having read the book, I can criticize it.

(그 책을 읽었기에 나는 그 책을 비평할 수 있다.)

먼저 종속접속사 Since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I가 주절의 주어 I과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I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현재완료 동사 have read는 주절의 현재 동사 can criticize보다 이전에 발생한 앞선 시제이므로 동사 have readHaving read(having+과거분사: 완료 분사)으로 만든다.

 

14. As I was only a poor student, I hadn’t enough money to buy it.

(보어 앞 being 생략·이유)

Being only a poor student, I hadn’t enough money to buy it.

Only a poor student, I hadn’t enough money to buy it.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I가 앞 절의 주어 I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I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was가 주절의 동사 hadn’t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동사 wasbe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번에서 언급했듯이 명사 a poor student 앞에 위치한 Being은 생략할 수 있다.

 

15. Since he was a man of social instincts, he had many acquaintances.

(보어 앞 being 생략·이유)

Being a man of social instincts, he had many acquaintances.

A man of social instincts, he had many acquaintances.

(사교성이 풍부한 사람이었으므로, 그는 아는 사람이 많았다.)

먼저 종속접속사 Since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he가 앞 절의 주어 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was가 주절의 동사 had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동사 wasbe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번에서 언급했듯이 명사 a man of social instincts 앞에 위치한 Being은 생략할 수 있다.

 

16. As he had been lazy all his life, he remained poor.

(보어 앞 being 생략, 과거완료·이유)

Having been lazy all his life, he remained poor.

Lazy all his life, he remained poor.

(평생 게을렀기 때문에, 그는 늘 가난했다.)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he가 주절의 주어 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과거완료 동사 had been은 주절의 과거 동사 remained보다 앞선 시제이므로 동사 had beenHaving been(having+과거분사: 완료 분사)으로 만든다. 2번에서 언급했듯이 형용사 lazy 앞에 위치한 Having been은 생략할 수 있다.

 

17. As he was impatient from the heat, he left town for the country.

(보어 앞 being 생략·이유)

Being impatient from the heat, he left town for the country.

Impatient from the heat, he left town for the country.

(더위를 참을 수 없어서, 그는 도시를 떠나 시골로 내려갔다.)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he가 주절의 주어 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과거 동사 was는 주절의 과거 동사 left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wasBe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번에서 언급했듯이 형용사 impatient 앞에 위치한 Being은 생략할 수 있다.

 

18. As I don’t know his cellphone number, I can’t call him. (부정·이유)

Not knowing his cellphone number, I can’t call him.

(나는 그의 휴대폰 번호를 모르기 때문에 그에게 전화할 수 없다.)

준동사(부정사, 분사와 동명사)를 부정할 때는 준동사 앞에 not 또는 never를 위치시키면 된다. 16번 문장을 분사구문으로 전환해보자.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I가 주절의 주어 I과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I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don’t know와 주절의 동사 can’t call이 현재시제로서 시제가 일치하므로 knowknow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들면서 종속절의 동사 don’t know가 부정을 나타내므로 현재분사 knowing 앞에 부정의 부사 Not을 위치시킨다.

 

19. As the book had not been read for a long time, it became dusty. (부정·이유)

Not having been read for a long time, it became dusty.

(그 책은 오랫동안 읽히지 않았기 때문에 먼지투성이가 되었다.)

16번에서 준동사(부정사, 분사와 동명사)를 부정할 때는 준동사 앞에 not 또는 never를 위치시키면 된다고 했듯이, 17번을 분사구문으로 전환해보면,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the book이 주절의 주어 it(=the book)과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the book을 생략하지만, the book이 없어지면 주절의 주어 it이 무엇을 지칭하는지를 알 수 없기에 itthe book으로 바꿔줘야 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had not been read가 주절의 동사 became보다 앞선 시제이므로 having been read(having+과거분사: 완료 분사)로 만들면서 종속절의 동사 had not been read가 부정을 나타내므로 현재분사 having 앞에 부정의 부사 Not을 위치시킨다.

 

20. While he swam in the river, he drowned. (동시 상황)

While swam in the river, he drowned.

(강에서 수영하고 있다가, 그는 익사했다.)

먼저 종속접속사 While을 생략해야 하지만, 분사구문의 의미가 때, 이유, 조건, 양보 등, 어느 것인지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접속사를 분사구문 앞에 부가할 경우가 있다. Swimming in the riverSince he swam in the river로 잘못 해석하지 않도록 While swimming in the river로 하여 의미를 명백하게 하였다. 종속절의 주어 he가 주절의 주어 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과거 동사 swam은 주절의 과거 동사 drowned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swamswimm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1. Though he lives close to the beach, he rarely goes swimming. (양보)

Though living close to the beach, he rarely goes swimming.

(비록 해변 근처에 살지만, 그는 좀처럼 수영하러 가지 않는다.)

먼저 종속접속사 Though를 생략해야 하지만, 분사구문의 의미가 때, 이유, 조건, 양보 등, 어느 것인지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접속사를 분사구문 앞에 부가할 경우가 있다.

Living close to the beachWhen he lives close to the beach로 잘못 해석하지 않도록 Though living close to the beach로 하여 의미를 명백하게 하였다. 종속절의 주어 he가 주절의 주어 he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he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현재 동사 lives는 주절의 현재 동사 goes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livesliv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2. As it was fine yesterday, we went on a picnic. (독립분사구문·이유)

It being fine yesterday, we went on a picnic.

(어제는 날씨가 좋아서 우리는 소풍 갔다.)

먼저 종속접속사 As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it이 주절의 주어 we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종속절의 주어 I을 생략하지 않고 남겨 둔다. 이처럼 분사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른 경우에는 분사 앞에 의미상의 주어(It)를 명시한다. 이처럼 분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밝혀져 있는 것을 독립분사구문이라 한다. 종속절의 과거 동사 was는 주절의 과거 동사 went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wasBe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3. When school was over, the schoolgirls went home. (독립분사구문·)

School was over, the schoolgirls went home.

(수업이 끝나자 여학생들은 집으로 갔다.)

먼저 종속접속사 When을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school이 주절의 주어 the schoolgirls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종속절의 주어 school을 생략하지 않고 남겨 둔다. 이처럼 분사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른 경우에는 분사 앞에 의미상의 주어(school)를 명시한다. 이처럼 분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밝혀져 있는 것을 독립분사구문이라 한다. 종속절의 과거 동사 was는 주절의 과거 동사 went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wasBe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4. If weather permits, they will go hunting. (독립분사구문·조건)

Weather permitting, they will go hunting.

(날씨가 좋으면 그들은 사냥하러 갈 것이다.)

먼저 종속접속사 If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weather가 주절의 주어 they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종속절의 주어 weather를 생략하지 않고 남겨 둔다. 이처럼 분사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른 경우에는 분사 앞에 의미상의 주어(weather)를 명시한다. 이처럼 분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밝혀져 있는 것을 독립분사구문이라 한다. 3번에서 언급했듯이, If와 같은 조건when과 같은 를 나타내는 종속절은 미래시제 ‘will+동사원형대신에 현재시제가 미래를 표현하므로, 종속절의 동사 permits가 주절의 동사 will go보다 시제가 앞서지만, 사실상 미래시제 will permit과 같은 의미이므로 종속절과 주절의 시제가 일치하기에 having permited (having +과거분사: 완료 분사) 대신에 permitting (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5. If we speak generally, the earth is round. (무인칭 독립분사구문·조건)

Generally speaking, the earth is round.

(일반적으로 말하면 지구는 둥글다.)

먼저 종속접속사 If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we가 주절의 주어 the earth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종속절의 주어 we를 생략하지 않고 남겨 둬야 하지만(독립분사구문), 그것이 막연한 일반 사람일 때는 이를 생략한다. 이러한 경우의 분사구문을 무인칭 독립분사구문이라 하며, 주로 관용표현으로 쓰인다. 종속절의 현재 동사 speak은 주절의 현재 동사 is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speakspeak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그리고 부사(generally)가 동사(speak)를 수식할 때는 동사 뒤에 위치하지만(speak generally), 형용사(speaking: 현재분사는 종속절의 동사가 형용사로 바뀐 것이다.)를 수식할 때는 형용사 앞에 위치한다(Generally speaking).

 

26. When we consider her age, she looks very young. (무인칭 독립분사구문·)

Considering her age, she looks very young.

(그녀는 나이에 비해서 퍽 젊어 보인다.)

먼저 종속접속사 when을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we가 주절의 주어 she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종속절의 주어 we를 생략하지 않고 남겨 둬야 하지만(독립분사구문), 그것이 막연한 일반 사람일 때는 이를 생략한다. 이러한 경우의 분사구문을 무인칭 독립분사구문이라 하며, 주로 관용표현으로 쓰인다. 종속절의 현재 동사 consider은 주절의 현재 동사 looks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considerconsider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7. If we speak strictly, spiders aren’t insects. (무인칭 독립분사구문·조건)

Strictly speaking, spiders aren’t insects.

(엄밀히 말하면 거미는 곤충이 아니다.)

먼저 종속접속사 If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we가 주절의 주어 spiders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종속절의 주어 we를 생략하지 않고 남겨 둬야 하지만(독립분사구문), 그것이 막연한 일반 사람일 때는 이를 생략한다. 이러한 경우의 분사구문을 무인칭 독립분사구문이라 하며, 주로 관용표현으로 쓰인다. 종속절의 현재 동사 speak는 주절의 현재 동사 aren’t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speakspeak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그리고 부사(strictly)가 동사(speak)를 수식할 때는 동사 뒤에 위치하지만(speak strictly), 형용사(speaking: 현재분사는 종속절의 동사가 형용사로 바뀐 것이다.)를 수식할 때는 형용사 앞에 위치한다(Stirictly speaking).

 

28. If we judge from his accent, he must be a German. (무인칭 독립분사구문·조건)

Judging from his accent, he must be a German.

(그 남자의 말씨로 판단하건대, 그는 독일인임이 틀림없다.)

먼저 종속접속사 If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we가 주절의 주어 he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종속절의 주어 we를 생략하지 않고 남겨 둬야 하지만(독립분사구문), 그것이 막연한 일반 사람일 때는 이를 생략한다. 이러한 경우의 분사구문을 무인칭 독립분사구문이라 하며, 주로 관용표현으로 쓰인다. 종속절의 현재 동사 judge는 주절의 현재 동사 must be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judgejudg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29. 무인칭 독립분사구문 관용표현

strictly speaking(엄밀히 말하면), generally speaking(일반적으로 말하면),

frankly speaking(솔직히 말하면), roughly speaking(대충 말하면),

judging from(~로 판단하건대), considering (that) ~을 고려(생각)하면, ~에 비해서),

Taking all things into consideration(모든 것을 고려해 보면),

speaking of(~에 대해 말하자면), granting(granted) that 주어+동사(비록 ~이라 할지라도)

 

30. Since it stands on the hill, the villa commands a fine view. (강조·이유)

Standing on the hill as it does on the hill, the villa commands a fine view.

(저렇게 언덕 위에 서 있으므로 그 별장은 전망이 좋다.)

먼저 종속접속사 Since를 생략하고 종속절의 주어 it이 주절의 주어 the villa와 일치하므로 종속절의 주어 it를 생략한다. 그리고 종속절의 동사 stands가 주절의 동사 commands와 시제가 일치하므로 동사 standsstandinging(동사 원형ing: 단순 분사)으로 만든다. 또한 as it does는 분사구문의 뜻을 강조하기 위해 덧붙인 것이다. as는 양태[樣態](사물이나 현상이 존재하는 모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접속사이고, 여기서 itthe villa, 그리고 doesstands의 대동사(앞에 나오는 동사를 대신하는 동사)이다.

 

 
반응형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음(silent syllable)현상  (0) 2022.02.05
미국영어와 영국영어의 차이  (2) 2022.02.05
유사관계대명사  (0) 2022.02.05
특정 준동사를 목적어로 쓰는 동사  (0) 2022.01.31
복합관계부사(Compound Relative Adverb)  (0) 202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