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관계대명사 (Relative Pronoun)

반응형

관계대명사 (Relative Pronoun)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자리 잡은 명사(선행사), (선행사) 또는 절(선행사)을 대신해주는 대명사의 역할과 관계대명사 뒤에 이어지는 절을 이끌어 앞의 선행사에 연결하는 접속사의 역할을 겸하는 것이 관계대명사이다. ,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대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동일인

I know the woman. + She is playing the piano.

I know the woman who is playing the piano. (who 이하는 the woman에 연결된다.)

(나는 피아노를 연주하고 있는 그녀를 알고 있다.)

 

관계대명사에는 관계대명사 절이 선행사(antecedent)를 한정(限定)하는 형용사 절(제한적 용법)과 선행사의 내용을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형용사 절(계속적 용법)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격

 

선행사 주격 소유격 목적격 보격
사람 who/that whose who/whom/that who/ that
사물·동물 which/that whose/of which which/ that which/ that
사람·동물·사물 that
that that
선행사 포함 what
what what

 

주격 관계대명사

She has a son, and He is seven years old.

She has a son who(=that) is seven years old.

(그녀에겐 7살이 된 아들이 있다.)

두 문장을 관계 맺어주는 방법은 두 문장을 접속사(두 문장간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를 이용해서 연결하면 된다. 앞 절의 a son과 뒤 절의 He는 같은 사람이다. 앞 절에 나오는 a son은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He는 접속사(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He가 주어 역할을 하므로 주격 관계대명사가 되는데, 이 대명사 He와 같은 사람인 선행사 a son이 사람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는 who(=that)가 된다. 한편, 위 문장 처럼 관계대명사 절의 동사 is의 주어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목적어·보어·소유격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주격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가 없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은 목적어가 없으며, 보격 관계대명사 절은 보어가 없으며,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이 없다).

Take the report, and It is on the desk.

Take the report which(=that) is on the desk.

(책상 위에 있는 보고서를 가져가시오.)

두 문장을 관계 맺어주는 방법은 두 문장을 접속사(두 문장간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를 이용해서 연결하면 된다. 앞 절의 the report와 뒤 절의 It은 동일한 지칭물이다. 앞 절에 나오는 the report는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It은 접속사(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It이 주어 역할을 하므로 주격 관계대명사가 되는데, 이 대명사 It과 동일물은 사물인 선행사 the report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는 which(=that)가 된다.

 

Love comes to everyone at some time in his or her life, and It is a wonderful feeling.

Love which(=that) is a wonderful feeling comes to everyone at some time in his or her life. ① ②

(경이로운 감정인 사랑은 모든 이들에게 인생의 어느 순간에 찾아온다.)

두 문장을 관계 맺어주는 방법은 두 문장을 접속사(두 문장간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를 이용해서 연결하면 된다. 앞 절의 Love와 뒤 절의 It은 동일한 지칭물이다. 앞 절에 나오는 Love는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It은 접속사(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It이 주어 역할을 하므로 주격 관계대명사가 되는데, 이 대명사 It과 동일물은 사물인 선행사 Love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는 which(=that)가 된다. 그리고 관계대명사는 몇몇 특별한 경우[e.g. I have encountered nothing(선행사) on Apollo 15 or in this age of space science that(주격 관계대명사) dilutes my faith in God(나는 아폴로 15호에서나 이 우주 과학 시대에서 하느님에 대한 나의 신념을 약화시키는 어떤 것도 만난 적이 없다.)]를 제외하고는 선행사 바로 뒤에 위치해야 하므로 in his or her life 뒤가 아니라 선행사 Love 바로 뒤에 왔다. 한편, 관계대명사는 두 개의 절이 한 문장으로 이루어지므로 두 개의 동사가 존재한다. 에서처럼 선행사(a sonthe report) 앞에 동사(hastake)가 각각 한 개씩 존재하므로, 관계대명사 뒤에는 하나의 동사(is, is)만 오게 되어있다. 그런데 위의 문장 에서는 선행사 Love 앞에 동사가 없으므로 관계대명사 which(=that) 뒤에 두 개의 동사(is, comes)가 자리하고 있다. 첫 번째 동사(is)는 선행사(Love)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절 속의 동사이고 두 번째 동사(comes)가 실제 동사이다.

 

Animals are not happy, for they are in cages.

Animals which(=that) are in cages are not happy.

(우리 안에 있는 동물들은 행복하지 않다.)

두 문장을 관계 맺어주는 방법은 두 문장을 접속사(두 문장간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를 이용해서 연결하면 된다. 앞 절의 Animals와 뒤 절의 they는 동일물이다. 앞 절에 나오는 Animals는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they는 접속사(for)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they가 주어 역할을 하므로 주격 관계대명사가 되는데, 이 대명사 they와 동일물은 동물인 선행사 Animals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는 which(=that)가 된다. 그리고 관계대명사는 몇몇 특별한 경우[e.g. There is someone(선행사) at the door who(주격 관계대명사) wants to see you.(입구에서 너를 만나기를 원하는 어떤 사람이 있다.)]를 제외하고는 선행사 바로 뒤에 위치해야 하므로 happy 뒤가 아니라 선행사 Animals 바로 뒤에 왔다. 한편, 관계대명사는 두 개의 절이 한 문장으로 이루어지므로 두 개의 동사가 존재한다. 에서처럼 선행사(a sonthe report) 앞에 동사(hastake)가 각각 한 개씩 존재하므로, 관계대명사 뒤에는 한 개의 동사(is, is)만 오게 되어있다. 그런데 위의 문장 에서는 선행사 Animals 앞에 동사가 없으므로 관계대명사 which(=that) 뒤에 두 개의 동사(are, are)가 자리하고 있다. 첫 번째 동사(are)는 선행사(Animal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절 속의 동사이고 두 번째 동사(are)가 실제 동사이다.

 

Do the thing which (you think) is right.

(당신이 생각하기로 옳은 것을 해라.)

~ 처럼 관계대명사 절에는 두 개의 동사가 존재하는데, 예문 에서는 세 개의 동사가 있다. 이 같은 경우에서는 관계대명사(which) 뒤에 나오는 주어와 동사(you think)는 덧붙여주는 삽입절이다. 그러므로 실제 동사는 is이다.

 

He is the man who (I thought) was honest.

(그는 제가 생각하기로 정직했던 남자다.)

They are the people who (I believe) are learned.

그들은 제가 믿기로 학식이 있는 사람들이다.)

Go first to those who (you are sure) will help you.

(당신이 확신하기로 당신을 도와줄 사람들에게 먼저 가세요.)

I saw a woman who (I thought) was a friend of my mother’s.

(제가 생각하기로 저의 어머니 친구분이신 여자분을 보았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This is the man, and I met him yesterday.

This is the man whom(=who=that) I met yesterday.

(이분이 내가 어제 만났던 그 남자분이다.)

두 문장을 관계 맺어주는 방법은 두 문장을 접속사(두 문장간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를 이용해서 연결하면 된다. 앞 절의 the man과 뒤 절의 him은 같은 사람이다. 앞 절에 나오는 the man은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him은 접속사(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him이 동사 met의 목적어이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되는데, 이 대명사 him과 같은 사람인 선행사 the man이 사람이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whom(=who=that)이 된다. 한편, 위 문장 처럼 관계대명사 절의 동사 met의 목적어가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목적어·보어·소유격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주격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가 없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은 목적어가 없으며, 보격 관계대명사 절은 보어가 없으며,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이 없다).

 

This is the boy, and I went there with him.

→ ㉠ This is the boy whom(=who=that) I went there with.

→ ㉡ This is the boy I went there with.

→ ㉢ This is the boy with whom(who, that) I went there.

→ ㉣ This is the boy with I went there. (X)

앞 절의 the boy와 뒤 절의 him은 같은 사람이다. 앞 절에 나오는 the man은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him은 접속사(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him이 전치사 with의 목적어이기에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되는데, 이 대명사 him과 동일인인 선행사 the boy가 사람이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whom(=who=that)이 된다. 그리고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기에, 과 같은 문장이 될 수가 있다. 또한 뒤에 있던 전치사(with)처럼 관계대명사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으로 이동을 한 후에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라 할지라도 생략할 수 없으며, whothat으로 대체될 수도 없다. 한편, 위 문장 처럼 관계대명사 절의 전치사 with의 목적어가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목적어·보어·소유격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주격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가 없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은 목적어가 없으며, 보격 관계대명사 절은 보어가 없으며,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이 없다).

 

The cat belongs to Mary, and I am so fond of it.

→ ㉠ The cat which(=that) I am so fond of belongs to Mary.

→ ㉡ The cat I am so fond of belongs to Mary.

(내가 좋아하는 고양이는 Mary의 것이다.)

 

앞 절의 the cat과 뒤 절의 it는 동일물이다. 앞 절에 나오는 the cat은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it은 접속사(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it이 전치사 of의 목적어이기에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되는데, 이 대명사 it과 동일물인 선행사 the cat이 동물이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which(=that)이 된다. 그리고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기에, 과 같은 문장이 될 수가 있다. 한편, 위 문장 처럼 관계대명사 절의 전치사 of의 목적어가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목적어·보어·소유격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주격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가 없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은 목적어가 없으며, 보격 관계대명사 절은 보어가 없으며,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이 없다). 그리고 관계대명사는 몇몇 특별한 경우[e.g. There is someone(선행사) at the door who(주격 관계대명사) wants to see you.(입구에서 너를 만나기를 원하는 어떤 사람이 있다.)]를 제외하고는 선행사 바로 뒤에 위치해야 하므로 Mary 뒤가 아니라 선행사 The cat 바로 뒤에 왔다. 한편, 관계대명사는 두 개의 절이 한 문장으로 이루어지므로 두 개의 동사가 존재한다. 에서처럼 선행사(a sonthe report) 앞에 동사(hastake)가 각각 한 개씩 존재하므로, 관계대명사 뒤에는 하나의 동사(is, is)만 오게 되어있다. 그런데 위의 문장 에서는 선행사 The cat 앞에 동사가 없으므로 관계대명사 which(=that) 뒤에 두 개의 동사(am, belongs)가 자리하고 있다. 첫 번째 동사(am)는 선행사(The cat)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절 속의 동사이고 두 번째 동사(belongs)가 실제 동사이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He has a daughter, and Her name is Jane.

He has a daughter whose name is Jane.

(그는 이름이 Jane인 딸이 있다.)

두 문장을 관계 맺어주는 방법은 두 문장을 접속사(두 문장간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를 이용해서 연결하면 된다. 앞 절의 a daughter와 뒤 절의 Her는 같은 사람이다. 앞 절에 나오는 a daughter는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Her는 접속사(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Her가 소유격이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가 되는데, 이 대명사 Her와 같은 사람인 선행사 a daughter가 사람이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whose가 된다. 한편, 관계대명사 절 name의 소유격 보이지 않기 때문에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목적어·보어·소유격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주격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가 없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은 목적어가 없으며, 보격 관계대명사 절은 보어가 없으며,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이 없다).

 

This is the house, and its windows were broken.

This is the house whose windows were broken.

(이 집이 창문이 깨졌던 집이다.)

앞 절의 the house와 뒤 절의 its는 동일물이다. 앞 절에 나오는 the house는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its는 접속사(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its가 소유격이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가 되는데, 이 대명사 its와 같은 사물인 선행사 the house가 사물이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는 whose가 된다. 한편, 관계대명사 절 windows의 소유격 보이지 않기 때문에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목적어·보어·소유격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주격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가 없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은 목적어가 없으며, 보격 관계대명사 절은 보어가 없으며,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이 없다).

 

This is the house, and the windows of it were broken.

This is the house the windows of which were broken.

This is the house of which the windows were broken.

(이 집이 창문이 깨졌던 집이다.)

앞 절의 the house와 뒤 절의 it는 동일물이다. 앞 절에 나오는 the house는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에 나오는 대명사 it는 접속사(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소유의 의미(~)를 나타내는 전치사 of 뒤에 나오는 대명사 it가 전치사 of의 목적어이며, 선행사 the house가 사물이므로 형식상으로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of which가 되지만, 내용상으로는 소유격 관계대명사 of which가 된다.

 

보격 관계대명사

She was rich, but I unfortunately was not it.

She was rich, which I unfortunately was not.

(그는 부자였지만 나는 불행히도 그렇지 못했다.)

두 문장을 관계 맺어주는 방법은 두 문장을 접속사(두 문장간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를 이용해서 연결하면 된다. 앞 절의 rich와 뒤 절의 it은 동일하다. 앞 절에 나오는 rich는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의 it이 접속사 but과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it가 보어 역할을 하고 선행사 rich가 사람이 아니므로 보격 관계대명사 which로 된다. 또한 관계대명사 바로 앞에 콤마가 오는 관계대명사를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라 하는데,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에서는 that을 사용하지 않으며, 관계대명사를 접속사(but)와 선행사(rich)로 해석을 한다. 한편, 위 문장 처럼 관계대명사 절의 동사 was의 보어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목적어·보어·소유격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주격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가 없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은 목적어가 없으며, 보격 관계대명사 절은 보어가 없으며,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이 없다).

 

You can rise up fully and become the person, and you were truly meant to be him or her.

You can rise up fully and become the person who you were truly meant to be.

(너는 완전하게 부풀어 올라 네가 진정으로 되고자 하는 사람이 되겠지.)

앞 절의 the person과 뒤 절의 him or her는 동일인이다. 앞 절에 나오는 the person은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의 him or her가 접속사 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him or her가 보어 역할을 하고 선행사 the person이 사람이므로 보격 관계대명사 who가 된다. 한편, 위 문장 처럼 관계대명사 절의 부정사 동사 be의 보어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목적어·보어·소유격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주격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가 없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은 목적어가 없으며, 보격 관계대명사 절은 보어가 없으며,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이 없다).

 

Although he finally finds the photographer, Walter realizes he has, more importantly, become the person, and he always imagined he could be him.

Although he finally finds the photographer, Walter realizes he has, more importantly, become the person that he always imagined he could be.

(마침내 사진작가를 찾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하게도, Walter는 자신이 꿈꿔왔던 사람이 되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앞 절의 the person과 뒤 절의 him은 동일인이다. 앞 절에 나오는 the person은 선행사(先行詞)가 되며, 뒤 절의 him이 접속사 and와 결합하여 관계대명사[=관계(접속사)+대명사]로 바뀐다. 그리고 대명사 him이 보어 역할을 하고 선행사 the person이 사람이므로 보격 관계대명사 that(=who)이 된다. 한편, 위 문장 처럼 관계대명사 절의 동사 could be의 보어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목적어·보어·소유격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주격 관계대명사 절은 주어가 없고, 목적격 관계대명사 절은 목적어가 없으며, 보격 관계대명사 절은 보어가 없으며, 소유격 관계대명사 절은 소유격이 없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선행사+(,)+관계대명사]의 형식으로 쓰여, 관계대명사 절이 선행사의 내용을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용법을 말한다. 이때 관계대명사는 접속사(and, but, for, though)+대명사(=선행사)로 해석을 하며, 관계대명사로 that은 사용할 수 없다.

제한적(=한정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의 차이점

He had three sons who became doctors.

(그에게는 의사가 된 아들이 셋 있었다. 아들이 몇 명인지 알 수 없음)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없는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이기 때문에 who는 해석하지 않고 관계대명사 절이 선행사(three sons)를 수식한다. 동사 became의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인데, 선행사(three sons)가 동사 became의 주어가 된다.

 

He had three sons, who became doctors.

and they

(그에게는 아들이 셋인데, 그들은 의사가 되었다. 아들이 셋 임)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없는 제한적(=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이기 때문에 who는 해석하지 않고 관계대명사 절이 선행사(three sons)를 수식한다. 동사 became의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인데, 선행사(three sons)가 동사 became의 주어가 된다.

 

I met John, who told me the news.

and he

(John을 만났는데, 그가 내게 그 소식을 전해 주었다.)

관계대명사(who) 앞에 콤마가 있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who)를 접속사(and)와 선행사(John)로 해석한다. 동사 told의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인데, 선행사(John)가 동사 told의 주어가 된다.

 

I met George, who said nothing about it.

but he

(George를 만났지만, 그는 그것에 대 아무것도 말하지 않았다.)

관계대명사(who) 앞에 콤마가 있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who)를 접속사(but)와 선행사(George)로 해석한다. 동사 said의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인데, 선행사(George)가 동사 said의 주어가 된다.

 

Everyone loves Mary, who is a kind nurse.

for she

(누구나 Mary를 사랑한다. Mary는 친절한 간호사니까.)

관계대명사(who) 앞에 콤마가 있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who)를 접속사(for:왜냐하면)와 선행사(Mary)로 해석한다. 동사 is의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인데, 선행사(Mary)가 동사 is의 주어가 된다.

 

My uncle, who is rich, is not happy.

though he

(나의 삼촌은 부자이지만 행복하지는 않다.)

관계대명사(who) 앞에 콤마가 있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who)를 접속사(though:비록 ~이지만)와 선행사(My uncle)로 해석한다. 동사 told의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인데, 선행사(John)가 동사 told의 주어다. 관계대명사는 두 개의 절이 한 문장으로 이루어지므로 두 개의 동사가 존재한다. 처럼 선행사(three sonsJohn) 앞에 동사(hadmet)가 각각 한 개씩 존재하므로, 관계대명사 뒤에는 한 개의 동사(became, told)만 오게 되어있다. 그런데 위의 문장 에서는 선행사 My uncle 앞에 동사가 없으므로 관계대명사 who 뒤에 두 개의 동사(is, is)가 자리하고 있다. 첫 번째 동사(is)는 선행사(My uncle)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절 속의 동사이고 두 번째 동사(is)가 실제 동사이다.

 
반응형